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오늘의 표현]one way or the other 어떤 식으로든, 어떻게 해서든, 이러나저러나

카테고리 없음

by 새벽한결 2025. 3. 30. 17:07

본문

Anger in Greenland over visits this week by Usha Vance and Mike Waltz -The Guardian

우샤 밴스와 마이크 월츠의 이번 주 그린란드 방문을 두고 그린란드에서 반발이 일고 있다.

 

Usha Vance, the wife of US vice-president JD Vance, will travel to Greenland this week as President Donald Trump clings to the idea of a US annexation of the strategic, semi-autonomous Danish territory. Vance will visit Greenland on Thursday with a US delegation to tour historical sites, learn about the territory’s heritage and attend the national dogsled race, the White House said in a statement. The delegation will return to the US on 29 March.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략적 요충지인 덴마크의 반자치령 그린란드의 미국 병합 구상을 고수하는 가운데, 미국 부통령 JD 밴스의 아내 우샤 밴스가 이번 주 그린란드를 방문할 예정이다. 밴스는 목요일 미국 대표단과 함께 그린란드를 방문하여 역사적인 장소를 둘러보고 이 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해 배우고 전국적인 규모의 개썰매 경주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이 성명을 통해 발표했다. 대표단은 329일 미국으로 돌아올 예정이다.

∙cling to ~을 고수하다, ~에 매달리다

∙travel to ~로 이동/여행하다

 

The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er, Mike Waltz, and the energy secretary, Chris Wright, will also travel to Greenland, visiting a US military base in Greenland, a US official said. The White House did not immediately respond to a request for comment. Trump has made US annexation of Greenland a major talking point since taking office for a second time on 20 January and has said it will become part of the US “one way or the other”. The governments of both Greenland and Denmark have voiced opposition to such a move.

백악관 국가 안보 보좌관 마이크 월츠와 에너지부 장관 크리스 라이트도 그린란드를 방문해 그곳의 미군 기지를 방문할 것이라고 미국 관리가 밝혔다. 백악관은 논평 요청에 즉각적인 반응을 내놓지는 않았다. 트럼프는 120일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후 그린란드의 미국 병합을 주요 의제로 삼았으며, “어떤 식으로든미국의 일부로 만들겠다고 말한 바 있다.

∙respond to ~에 응하다

∙a talking point 논란거리, 화두

∙take[come into, enter (upon)] office 취임하다

∙one way or the other 어떤 식으로든, 어떻게 해서든, 이러나저러나

 

Speaking on Sunday to the Greenlandic newspaper Sermitsiaq, Greenland’s prime minister, Múte Egede, said the visit by Waltz was a “provocation”. Greenland’s strategic location and rich mineral resources could benefit the US. It lies along the shortest route from Europe to North America vital for the US ballistic missile warning system.

일요일 그린란드 신문 세르미트시아크와의 인터뷰에서 그린란드 총리 무테 에게데는 월츠의 방문을 도발이라고 했다. 그린란드의 전략적 위치와 풍부한 광물 자원은 미국에 이득이 될 수 있다. 그린란드는 유럽에서 북미로 가는 최단 경로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미국의 탄도미사일 경고 시스템에 매우 중요하다. 그린란드와 덴마크 정부는 모두 이런 움직임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speak to sb (about sth) ~와 (~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

∙vital for ~에 필요불가결한

∙opposition to ~에 대한 반대

 

The Greenlandic government, which is in a caretaker period after a 11 March general election won by a party that favours a slow approach to independence from Denmark. The Danish prime minister, Mette Frederiksen, said in a written comment reacting to news of the visit that “this is something we take seriously”. She said Denmark wanted to cooperate with the US but it should be cooper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rules of sovereignty”.

지난 311일 총선에서 덴마크로부터의 독립에 대해 점진적인 접근을 선호하는 정당이 승리한 이후, 그린란드 정부는 인수 기간(과도 정부 상태)에 있다. 덴마크 총리 메테 프레드릭슨은 서면 논평에서 미국 대표단의 방문에 대해 이것은 우리가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문제라고 반응했다. 그녀는 덴마크가 미국과 협력을 원하지만, “주권이라는 기본 원칙에 기반한 협력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approach to ~에 대한 접근법

 

People take part in a march ending in front of the US consulate, under the slogan ‘Greenland belongs to the Greenlandic people’, in Nuuk, Greenland

그린란드 누크에서 그린란드는 그린란드 국민의 것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행진한 사람들이 미국 영사관 앞까지 걸어갔다.

 

∙one way or the other 어떤 식으로든, 어떻게 해서든, 이러나저러나

- 뉘앙스

강한 의지: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결국 이루겠다는 뜻을 담고 있어요.

불확실성: 정확한 방법은 모르지만, 결국 어떻게든 일이 진행될 것이라는 의미.

ex]

We'll get there one way or the other.

→ 어떤 방법을 쓰든 결국 도착할 거야. (방법이 어찌 됐든, 결과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뉘앙스)

She'll find out the truth one way or the other.

→ 그녀는 어떻게든 진실을 알게 될 거야.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알게 될 가능성)

You have to pay the debt one way or the other.

→ 너는 어떻게든 그 빚을 갚아야 해.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피할 수 없다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