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ten dollar word: bog something/somebody |down (in something) 지체되다, 수렁에 빠지다, 교착상태에 빠지다
If a plan or process bogs down or if something bogs it down, it is delayed and no progress is made.
As of this weekend, according to Viasna, a human rights group that monitors detentions, Belarus had 1,419 political prisoners, mostly people who were jailed after the election in 2020. They include leaders of disbanded opposition parties and the co-winner of the 2022 Nobel Peace Prize, Ales Bialiatski. Torture,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cording to human rights monitors, is commonplace in an archipelago of bleak prisons.
구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인권단체인 비아스나에 의하면 이번 주말 기준(이번 주말 현재) 벨라루스에는 1,419명의 정치범이 있으며 대부분이 2020년 선거 후에 투옥된 사람들이다. 해체된 야당들의 지도자들과 2022년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자인 알레스 발랴츠키도 거기에 포함된다. 인권 모니터 요원들에 따르면, 신체적 고문 및 정신적(심리적) 고문 모두가 벨라루스의 벨라루스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음산한 교도소에서 아주 흔하게 벌어지고 있다.
∙detention (특히 유치장·교도소에서의) 구금[구류]
∙bleak 으스스한, 음산한
∙archipelago 다도해, 군도
Belarus provided logistical support for Russia’s invading army and allowed its territory to be used as a staging ground for an abortive Russian thrust toward Kyiv, the Ukrainian capital. But it has resisted pressure from Moscow to send its own troops into battle in Ukraine, one of the few things that Mr. Lukashenko has done that enjoys wide popular support.
벨라루스는 러시아 침략군을 위해 군수지원을 제공했으며 러시아가 키이브 점령은 실패했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브를 행해 빠르게 진격할 수 있는 기지로 자국의 영토를 사용하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벨라루스는 우크라이나에 자국의 군대를 파병하라는 러시아 정부의 압력은 거부해왔으며, 이것은 루카센코가 한 일 중에서 국민의 폭넓은 지지를 받는 몇 안 되는 일 중 하나이다.
∙logistical support 군수지원
∙a staging ground 활동 무대
∙abortive 무산된
When huge street protests swept across Belarus two years ago after a fraud-riddled election, the Eastern European nation’s strongman leader, Aleksandr G. Lukashenko, was propped up by the Kremlin, which sent security officers and money to support him. Today, eight months after Russia invaded Ukraine, Mr. Lukashenko’s Russian-enabled grip on power risks slipping as Moscow pressures him to get more involved in the faltering military campaign next door in Ukraine.
2년 전 부정으로 얼룩진 선거로 대규모 거리 시위가 벨라루스 전역을 휩쓸었을 때, 동유럽 국가의 독재 지도자 알렉산드르 G. 루카센코는 러시아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 러시아는 그를 지원하기 위해 공안 경찰을 파견하고 자금을 보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8개월이 지난 오늘날, 이웃 나라 우크라이나에서의 흔들리는 군사 작전에 더 많이 관여하라고 러시아가 루카센코에게 압력을 가하면서 러시아의 지지를 받는 (러시아의 지원이나 지지를 이용할 수 있는) 그의 권력 장악력이 흔들릴 위험이 있다.
∙be riddled (특히 나쁜 것이) 가득하다[–투성이이다]
∙prop up 지원하다, 받쳐주다
Russia started its invasion of Ukraine in February with an abortive offensive toward Kyiv, the Ukrainian capital, from Belarusian territory. With his forces now largely bogged down or in retreat, President Vladimir V. Putin of Russia is looking to Mr. Lukashenko for more robust support. After a meeting with Mr. Putin in St. Petersburg last weekend, Mr. Lukashenko on Monday told military and security officials that Ukraine, Poland and NATO were “trying to drag us into a fight.” “We must not let them drag us into a war,” he added. His remarks, though aimed at NATO, revealed a deep unease with what Western and Ukrainian officials believe is increasing Russian pressure to send Belarusian forces to fight.
러시아는 지난 2월 벨라루스 영토에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브를 향한 공격을 감행하며 우크라이나 침공을 시작했는데 키이브 공격은 실패했다. 러시아군이 현재 대부분 교착상태이거나 후퇴 중인 상황에서 블라디미르 V.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루카센코에게 더 전폭적인(강력한)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지난 주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푸틴과의 회담 후, 루카센코는 월요일 군사 및 안보 관리들에게 우크라이나와 폴란드, 나토가 “우리를 전쟁 속으로 끌어들이려 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들이 우리를 전쟁 속으로 끌어들이게 놔두면 안 됩니다,”라고 덧붙였다. 그의 발언은 비록 나토를 겨냥한 것이었지만 서방과 우크라이나 관리들이 인식하는 것처럼 그 발언은 벨라루스 군대를 전투에 참여시키려는 러시아의 압력이 커지는 것에 대한 깊은 우려를 드러낸 것이다.
∙offensive (군사적) 공격
∙be in retreat 후퇴 중이다
A vendor sells vegetables next to official leaflets with competing parliamentary candidates’ information displayed, in Minsk, Belarus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선거에서 경쟁하고 있는 국회의원 후보들에 대한 정보가 적혀 있는 공식 전단지 옆에서 채소를 팔고 있는 행상